경기도 판교, 2016년 12월 19일|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2016년 한해도 과학 꿈나무들에게 생명과학 및 기초과학 분야를 탐구하고 흥미를 북돋아 주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경기도 경기과학멘토 사업과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으로 진행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교육 프로그램은 2016년 한해 동안 총 62회 진행되었으며, 3,078 명이 그 혜택을 받았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이 참여할 수 있는 연구소 교육 프로그램은 과학자들이 직접 가르쳐주는 과학 이론 수업 및 실험 뿐만 아니라 질문 세션, 연구소 투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과학과 연구소 역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안양과 동두천에서 진행된 과학 페스티발에도 참석, 일반인들도 손쉽게 과학을 체험하고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여 과학문화 확산에도 앞장섰다.
특히, 여름/ 겨울 방학 동안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연구소 인턴쉽 프로그램의 경우,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되었다. 학생들은 각 연구팀에 배정되어 과학자와 함께 연구하며 과학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배우게 되며, 또한 실험을 직접 해봄으로 미래 진로를 경험할 수 있다. 중고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역시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강의 및 실습 프로그램과 과학자와의 대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들은 이런 과정을 통해 과학이 일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고, 과학과 기초과학 분야를 더 공부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이해함으로 미래 대한민국 과학자를 길러내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판교중학교 학생들이 연구소를 방문해 연구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을 듣는 모습]
교육은 루이 파스퇴르가 강조한 부분 중 하나로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2009년부터 꾸준히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까지 약 16,500 여명의 학생들이 생명과학 교육 혜택을 받았다. 2017년에도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계속해서 다양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과 인턴쉽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다. 자세한 교육 프로그램 정보는 연구소 홈페이지(www.ip-korea.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궁금한 사항은 이메일(publicaffairs@ip-korea.org)로 문의가 가능하다.
# # # # # # #
※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 대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국제 공중 보건 이슈에 초점을 맞춘 국제적인 연구 기관으로, 질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첨단 방법을 융합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분야에 걸친 연구 프로젝트를 장려함으로 신약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과학 지식과 기술 자원 축적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독립된 비영리 법인으로 4가지 공익적인 핵심 미션을 수행하며 공중 보건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연구: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생물학 · 화학 · IT 기술을 결합해 혁신적인
세포 기반의 신약 개발 플랫폼을 구축해, 잠재적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기작을 가진 타겟(target)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교육: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차세대 과학자 및 공중 보건 전문가 육성을 통해 다음 세대에게 혁신 및 연구 정신을 북돋아 줌으로 대한민국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3) 공중 보건: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감염병 대응을 위해 국내 및 국제 보건 전문기관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4) 바이오메디컬(biomedical) 연구 결과의 중개 (Translation):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기술이전 및 파트너십을 통해 공중 보건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파스퇴르연구소 국제네트워크 회원이며, 중심 연구소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글로벌 제약 산업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 및 국제적 연구 제휴를 통해 연구 협력 프로젝트 기반으로 한국 R&D 기술을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2004년 4월 과학기술부(현: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파리 파스퇴르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간의 협력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또한 경기도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