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0일, 경기도 판교 | ㈜파로스아이비티와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리슈만편모충증 치료제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 협력을 통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기초과학 연구 역량 및 신약후보물질 발굴/검증 기술(페노믹스크린(PhenomicScreen
TM)*과 ㈜파로스아이비티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로 약물의 다양한 독성을 예측해 저비용·고효율 신약을 개발하는 기술을 접목, 리슈만편모충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저분자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다. 경기도 지원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동연구는 9월 부터 착수해 총 3년간 진행할 계획이다.
리슈만편모충증은 리슈마니아 속 기생원충이 그 원인으로, 인간은 이 기생충을 옮기는 일부 흡혈 파리에 물리면 감염된다. WHO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약 3억 5000만명이 이 리슈만편모충증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가난하며, 영양실조, 열악한 주거 환경, 면역 시스템이 약화된 상태이며 경제적으로도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매년 90 만 ~ 130만 명의 새로운 환자가 보고되고 있으며, 2천 ~ 3천 명이 리슈만편모충증으로 사망하고 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리슈마니아 연구팀 노주환 박사는 “리슈만편모충증은 현재 개발된 치료제로 치료가 가능한 질병다”라고 강조하며, “하지만 실제 환자들이 치료제를 구하지 못하는 현실과 현재 사용되는 치료제들의 독성 때문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덧붙여 “㈜파로스아이비티가 리슈만편모충증에 관심을 갖아준 것에 감사하며,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은 물론, 리슈만편모충증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고취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파로스아이비티 윤정혁 대표는 “경기도가 국제보건 R&D 에 투자한다는 것은 의미 있는 메세지이며, 그 영향력 역시 크다”며, “이번 리슈만편모충증을 위한 신약 개발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우수한 기술과 숙련된 인적 자원을 활용할 것이며, 파로스아이비티 역시 많은 환자들이 쉽게 약을 구입할 수 있도록 저비용·고효율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기술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로베르토 브루존(Roberto Bruzzone) 소장은 “리슈만편모충증은 전세계 대표적인 소외된 질환중 하나로, 수백만명에게 경제적으로 손실을 주고 있다”며, “이번 연구 협력을 통해 이 기생원충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높이고, 동시에 두 기관의 IT·BT 기술을 활용해 과학적 시너지를 높임으로 의료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 할길 바란다”고 말했다.
㈜파로스아이비티와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공동연구 프로젝트는, 경기도가 지원하는 [2016 한국파스퇴르연구소-제약기업 공동 신약개발 사업]으로 경기도는 도내 제약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이 사업을 기획했다. 올 한해 동안, 총 5개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파로스아이비티 공동연구를 포함해 총 4개 공동연구 프로젝트가 진행중에 있다. 선정된 기관과 경기도가 매칭해서 연구비를 지원하고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스크리닝 기술 및 숙련된 연구 인적 자원을 제공하게 된다.
# # # # # # #
※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 대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국제 공중 보건 이슈에 초점을 맞춘 국제적인 연구 기관으로, 질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첨단 방법을 융합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분야에 걸친 연구 프로젝트를 장려함으로 신약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과학 지식과 기술 자원 축적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독립된 비영리 법인으로 4가지 공익적인 핵심 미션을 수행하며 공중 보건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연구: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생물학 · 화학 · IT 기술을 결합해 혁신적인 세포 기반의 신약 개발 플랫폼을 구축해, 잠재적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기작을 가진 타겟(target)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교육: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차세대 과학자 및 공중 보건 전문가 육성을 통해 다음 세대에게 혁신 및 연구 정신을 북돋아 줌으로 대한민국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3) 공중 보건: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감염병 대응을 위해 국내 및 국제 보건 전문기관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4) 바이오메디컬(biomedical) 연구 결과의 중개 (Translation):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기술이전 및 파트너십을 통해 공중 보건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파스퇴르연구소 국제네트워크 회원이며, 중심 연구소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글로벌 제약 산업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 및 국제적 연구 제휴를 통해 연구 협력 프로젝트 기반으로 한국 R&D 기술을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2004년 4월 과학기술부(현: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파리 파스퇴르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간의 협력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또한 경기도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